월드컵 공원
유 형 : 환경생태공원
위 치 : 남지도(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성산동 일원)
면 적 : 3,471,090㎡
관 리 : 서울특별시
방문객 : 연간 약980만명
웹사이트 : 월드컵 공원 홈페이지
월드컵공원의 역사
난지천공원 서울 서부에 있던 당시 여의도 면적과 비슷했던 난지도는 1978년 3월 18일 난지도 일대 272만㎡의 쓰레기처리장 및 오물처리장 계획이 인가된 후 1993년 3월 19일 폐쇄되기까지 서울특별시에서 생산되는 모든 쓰레기가 매립되어 해발 90여m에 달하는 쓰레기산이 생기게 되었고, 주변 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쓰레기매립장 안정화 사업과 생태공원화가 추진되었다.
1991년 김포수도권쓰레기매립지가 조성되어 쓰레기 반입이 중단된 이후 메탄가스와 침출수 등으로 환경이 악화되어 생물이 살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여겨졌다.
1997년 10월 10일 쓰레기매립장에서 300여m 떨어진 상암동 일대 시유지가 서울 월드컵 경기장 건설부지로 지정되었다. 근처에 월드컵경기장이 들어서면서 난지도 생태공원 조성 사업은 난지도 공원과 월드컵 경기장, 상암동 택지개발, 디지털미디어시티와 연계된 대규모의 공원 조성사업으로 확대되었다.
매립장 안정화와 주변 지장물 이전 등의 사업이 이루어진 후 2001년 1월 29일 공원 조성 공사를 시작하여 월드컵 직전인 2002년 5월 1일 개장하였다.
월드컵공원의 관리
월드컵공원은 대표 공원인 평화의공원을 비롯해 하늘공원, 노을공원, 난지천공원의 4개 테마공원은 서부푸른도시사업소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난지한강공원은 한강사업본부에서 관리하고 있다.
(1) 평화의 공원
서울 월드컵 경기장 맞은편에 위치한 449,000㎡의 부지에 조성된 공원으로, 공원 중앙에는 대규모의 호수인 난지연못이 조성되어 있다.
주거지역과 가깝고 교통편이 편리하며, 서울 월드컵 경기장 인근에 위치해 있어 월드컵공원 중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월드컵대회 당시 월드컵경기장역에서 촬영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자세히보기
♬ Yo-Yo Ma, Cello / Ennio Morricone, 'Nella fantasia'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4. 청정촌 현장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B02. 경인(京仁) 아라뱃길(수향3~5경) (0) | 2013.04.06 |
---|---|
#B01. 경인(京仁) 아라뱃길(수향1~2경) (0) | 2013.03.30 |
#B8. 뿌띠프랑스(Petite France)길 도보 (0) | 2013.03.25 |
#B04. 서울경마장 가족공원(서울競馬場 家族公園)길 (0) | 2013.03.24 |
암사동 선사주거지 (0) | 201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