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기타 일상

제자리가 아니면 잡초가 된다.

청정촌 2019. 10. 27. 21:21


          제자리가 아니면 잡초가 된다.


    



              신문에 "토종들풀 종자은행" 이야기가

              실렸다.

              고려대 강병화 교수가 17년간 혼자

              전국을 돌아다니며 채집한 야생들풀


              1백과 4439종의 씨앗을 모아

              세웠다는 이야기다.

              한 사람이 장한 뜻을 세워 아무도

              돌아보지 않는 잡초들의 씨앗을 받으려
             

              청춘을 다 바쳤다는 것은 그것만으로도

              고맙고 자랑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나는 그보다 기사의 끝에 실린

              그의 말이 가슴에 와 닿는다.

          "엄밀한 의미에서 잡초는 없습니다.
           밀밭에 벼가 나면 잡초고,
           보리밭에 밀이 나면 또한 잡초입니다.
           상황에 따라 잡초가 되는 것이죠.
           산삼도 원래 잡초였을 겁니다."


             오호라! 상황에 따라 잡초가 된다.

             이 얼마나 의미심장한 말인가


             사람도 한 가지다. 제가 꼭 필요한 곳,

             있어야 할 곳에 있으면 산삼보다 귀하고,


             뻗어야 할 자리가 아닌데

             다리 뻗고 뭉게면 잡초가 된다.

             그가 17년간 산하를 누비며 들풀의 씨를

             받는 동안, 마음속에 스쳐간 깨달음이

             이것 하나 뿐이었을리 만무하지만,

 

             이 하나의 깨달음도 내게는 정신이

             번쩍들게 하는 들게 하는 참으로

             달고 고마운 말씀이었다.

             타고난 아름다운 자질을 제대로 펴지 못하고 

             잡초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보리밭에 난 밀처럼, 자리를 가리지 못해

             뽑히어 버려지는 삶이 너무나 많다.


             잡초로 태어난 사람은 없다.

             제 자리를 가리지 못해 잡초가 될 뿐이다.

             지금 내 자리는 제 자리인가?
             다시 한번 곰곰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토종들풀 종자은행"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281

            

            ♬ Butterfly / Danyel Gerard